티스토리 뷰
목차
처음 자취방을 구하거나 전월세 계약을 앞둔 사회초년생이라면, 설렘만큼이나 걱정도 클 거예요. 괜찮아 보이는 집을 계약했는데 막상 들어가보니 곰팡이가 심하거나, 계약서에 불리한 조항이 있었다면… 정말 낭패겠죠.
그래서 오늘은 전세나 월세 계약 전에 꼭 확인해야 할 핵심 체크리스트를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드릴게요.
✅ 1. 중개업소 등록 여부 확인
계약을 진행하는 부동산 중개업소가 정식 등록된 곳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 국토교통부 '중개업소 조회' 서비스에서 사업자번호나 상호명으로 조회할 수 있어요.
✅ 2. 등기부등본 확인은 필수
등기부등본을 확인하면 해당 부동산의 소유주, 근저당권, 압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꼭 직접 열람해서 '소유자'와 계약 당사자가 동일한지 체크하세요.
📎 참고 글: 등기부등본 보는 법 완전정리
✅ 3. 확정일자 꼭 받기
전세든 월세든 확정일자는 세입자의 권리를 보호해주는 강력한 장치입니다.
동사무소 또는 정부24에서 계약서를 제출하면 바로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어요.
✅ 4. 전입신고 시기 체크
전입신고는 입주 전이라도 계약서만 있으면 신고 가능합니다. 확정일자와 전입신고가 함께 있어야 대항력을 얻을 수 있으니 늦지 않게 하세요.
✅ 5. 특약사항 꼼꼼히 검토
계약서 뒷면에 쓰는 '특약사항'은 계약의 핵심 조건을 결정합니다.
예를 들어:
- 보일러 고장 시 수리 비용 분담
- 벽지/장판 교체 조건
- 중도 계약 해지 시 위약금 등
애매하거나 불리한 문구가 있다면 중개사에게 반드시 설명을 요청하세요.
✅ 6. 실제 집 상태 재확인
계약 전에 반드시 집 내부를 재방문하세요. 비 오는 날 곰팡이나 누수 흔적이 있는지, 누전 차단기, 가스차단기 등 기본 시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이 중요합니다.
🧾 전월세 계약 체크리스트 요약표
항목체크포인트
중개업소 등록 | 국토부 사이트에서 정식 등록 확인 |
등기부등본 | 소유자, 근저당권, 압류 여부 체크 |
확정일자 | 정부24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|
전입신고 | 입주 전 가능, 대항력 확보에 필수 |
특약사항 | 수리, 관리비, 위약금 조건 등 세부 검토 |
집 상태 확인 | 재방문하여 누수/곰팡이 등 점검 |
전월세 계약은 어렵고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, 위 항목들만 제대로 챙겨도 사기나 분쟁 위험은 크게 줄일 수 있어요.
앞으로도 사회초년생이 놓치기 쉬운 생활 속 계약 상식을 꾸준히 소개해드릴게요.
🔖 다른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:
2025 전세보증보험 완전정복|HUG vs SGI 뭐가 다를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