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수도요금 고지서를 받아들고 “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?”
궁금하셨던 적 있으시죠?
특히 여름철 사용량이 급증하는 시기에는 요금 체계에 따라
예상보다 많은 금액이 청구되기도 해요.
이번 글에서는 상수도요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,
우리 집 요금을 직접 조회하는 방법,
그리고 지역별 요금 예시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상수도요금이란?
상수도요금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에 부과되는 요금입니다.
수도관 설치 및 유지, 정수 처리, 공급 과정에 필요한 비용이 포함돼요.
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아요:
- 기본요금: 사용량과 무관하게 정액으로 부과
- 사용량요금: 1톤당 단가를 곱한 금액
- 하수도요금: 수돗물 사용량에 따라 하수 처리비용 추가
- 물 이용 부담금 (일부 지역): 환경부담금 성격의 부과금
상수도요금 계산 방식은?
지역별로 세부 단가와 구간은 다르지만,
기본적으로 계단식 누진 요금제를 적용합니다.
구간월 사용량 (㎥)요금(서울 기준)
1단계 | 0~10㎥ | 360원/㎥ |
2단계 | 11~20㎥ | 550원/㎥ |
3단계 | 21㎥~ | 790원/㎥ |
예를 들어, 한 달에 15㎥를 사용했다면,
10㎥는 360원 × 10 = 3,600원
5㎥는 550원 × 5 = 2,750원
총 사용요금은 6,350원이 됩니다. 여기에 기본요금 + 하수도요금이 추가돼요.
지역별 상수도요금 비교 (2025년 기준)
지역기본요금1톤당 평균 단가하수도요금 포함 여부
서울 | 약 1,600원 | 360~790원 | 포함 |
부산 | 약 1,500원 | 370~760원 | 포함 |
대구 | 약 1,300원 | 340~730원 | 포함 |
광주 | 약 1,200원 | 330~750원 | 포함 |
제주 | 약 1,400원 | 350~700원 | 포함 |
※ 지역별 요금은 관할 시청 또는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최신 확인 가능
내 상수도요금 조회 방법
1. 각 지자체 상수도사업본부 사이트
예:
-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: https://arisu.seoul.go.kr
- 부산시 물공급포털: https://water.busan.go.kr
2. 위택스(Wetax) 또는 지로사이트
3. 고지서 QR코드
- 최근 고지서에는 QR코드가 삽입되어 있어,
스캔만 하면 모바일로 요금 내역과 납부 가능
요금 절약 팁 5가지
- 양변기 누수 여부 점검: 하루 100ℓ 이상 낭비 가능
- 절수형 샤워기 교체: 최대 30% 절감
- 세탁기·식기세척기 예약 사용: 피크 시간대 분산
- 가족 수 맞춤 검침주기 체크: 이사 초기 요금 폭탄 방지
- 누수 알람기 설치: 수도관 문제 조기 감지 가능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수도요금이 갑자기 많이 나왔어요. 왜 그럴까요?
→ 계절 변화, 누수, 장기간 외출 중 자동 누수 등이 원인일 수 있어요.
지자체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.
Q. 고지서 없이도 요금 확인 가능한가요?
→ 네. 주소, 세대주 이름만 알면 지자체 사이트 또는 위택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Q. 하수도요금은 수도 사용량과 같나요?
→ 보통 동일하게 부과되지만, 하수도 전용 계량기 설치 시 분리 과금도 가능해요.
반응형